![연구실로고1-3_대지 1.png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837b9d_97558fd9ac464034bc426df21f77854e~mv2.png/v1/fill/w_240,h_83,al_c,q_85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%EC%97%B0%EA%B5%AC%EC%8B%A4%EB%A1%9C%EA%B3%A01-3_%EB%8C%80%EC%A7%80%201.png)
Department of Chemistry and Nanoscience
Ewha Womans University
연구 활동
![wordcloud_200319_JPark-01-01_edited.jpg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837b9d_47edefee46274b78968b38056638dc7f~mv2.jpg/v1/fill/w_600,h_385,al_c,q_80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wordcloud_200319_JPark-01-01_edited.jpg)
첨단 융복합/유무기/나노 소재의 광물리화학 연구
주제 1. 유기분자/전도성 고분자 소재 내 응집상 구조와 광물성 및 전기적 특성 간의 상관 관계
광학적/전기적 성질을 지닌 기능성 분자/전도성 고분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.
(예: 광전소재 (OLED, 반도체, 태양전지, 광검출기, 광학센서), 광학소자, 바이오 기능성 소재)
우리 랩에서는:
i) 저유전체 소재에서 빛에너지에서 화학/전기 에너지로의 변환 및 그에 따른 엑시톤(exciton)과 전하운반체(charge-carrier) 생성 과정을 연구한다.
ii) 분자의 자체 구조적 요인, 외부와의 상호작용, 및 분자간 쌓임이 어떻게 물질의 특성을 결정하는지
광학분광학, 레이저 분광학, 마이크로파 분광학, 전자현미경법 등의 방법을 사용해 연구한다.
iii) 원하는 응축된 물질의 특성을 얻고, 제어하는 방법을 연구한다.
![연구필요성.png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837b9d_4be7c29ce0ae4d6caad33d4bd4468d1c~mv2.png/v1/fill/w_555,h_278,al_c,q_85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%E1%84%8B%E1%85%A7%E1%86%AB%E1%84%80%E1%85%AE%E1%84%91%E1%85%B5%E1%86%AF%E1%84%8B%E1%85%AD%E1%84%89%E1%85%A5%E1%86%BC.png)
주제2. 유/무기 페로브스카이트 혼성체
할로겐화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는 우수한 광학적/전기적 성질을 가지는 새로운 반도체 물질이다.
페로브스카이트는 매우 우수한 태양전지 효율, 용액 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 등을 바탕으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.
우리는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적 요소(표면, 구조적 결함 등)와 물성(예: 광학적/전기적 성질, 전하운반체의 거동역학)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한다.
[초고속 레이저 분광학 및 마이크로파 분광학]
다양한 광물리적/화학적 현상을 관찰하고 이해하기 위해, 우리 연구실은 초고속 과흡수 분광법 (Ultrafast Transient Absorption Spectroscopy)과 순간광분해 시분해 마이크로파 전도도(Flash-Photolysis Time-Resolved Microwave Conductivity) 측정법과 같은 최신식의 분광법을 사용한다. 특히 FP-TRMC 분광법은 전극이 필요없고, 비파괴적이며, 우수한 시분해능, 우수한 민감도 등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나, 현재 국내에는 측정할 수 있는 곳이 본 실험실이 유일하다.
Time-correlated Single Photon Counting
(TCSPC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837b9d_8d555d741cea44a98269d10d7ec92939~mv2.gif/v1/fill/w_426,h_265,al_c,usm_0.66_1.00_0.01,pstr/837b9d_8d555d741cea44a98269d10d7ec92939~mv2.gif)
Flash-photolysis time-resolved
microwave conductivity (FP-TRMC)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837b9d_67be4e0fe0234deabdf47e5178b9ac3c~mv2.gif/v1/fill/w_371,h_264,al_c,usm_0.66_1.00_0.01,pstr/837b9d_67be4e0fe0234deabdf47e5178b9ac3c~mv2.gif)
Transient absorption spectroscopy
(TA spectroscopy)
![KakaoTalk_Photo_2021-12-23-11-02-41.png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837b9d_05ae396d943b4901b73b65b158b29b62~mv2.png/v1/crop/x_0,y_50,w_952,h_560/fill/w_456,h_268,al_c,q_85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KakaoTalk_Photo_2021-12-23-11-02-41.png)
Time-Resolved spectroscopy capability
![](https://static.wixstatic.com/media/837b9d_66f6b0d93b03426f8b4397983a6fd997~mv2.png/v1/crop/x_197,y_18,w_2107,h_704/fill/w_898,h_300,al_c,q_85,usm_0.66_1.00_0.01,enc_avif,quality_auto/837b9d_66f6b0d93b03426f8b4397983a6fd997~mv2.png)